자격증

종합원가계산에서 헷갈리는 보조부문 배부, 이 글로 끝내자!

oloolo 2025. 7. 25. 11:56

 

1. 배경: 제조간접비는 어떻게 계산하지?

  • 기업은 제품을 생산할 때 직접 들어간 원가(재료비, 노무비 등)뿐만 아니라,
  • 직접 측정할 수 없는 간접비도 발생합니다.
  • 예: 전기세, 기계 유지비, 청소 인건비 등
  • 이런 제조간접비는 보통 한 번에 특정 제품에 바로 붙일 수 없기 때문에,
  • → 일정한 기준을 정해서 제품에 배부(나눠서 배치)해야 해요.

 2. 종합원가계산 vs 개별원가계산

구분 종합원가 계산 개별원가계산
제품 특성 대량생산, 균일제품 맞춤형, 주문생산
원가 계산 단위 공정 전체 기준 주문별 기준
제조간접비 배부 방식 공정별로 정해진 기준 따라 배부 주문별 활동량에 따라 배부
여기서 이중배분율법은 종합원가계산에서 사용하는 간접비 배부 방식 중 하나예요!

3. 그럼, 제조간접비는 어디서부터 오나?

회사에는 제조부문보조부문이 있어요.

  • 제조부문: 실제로 제품을 만드는 부서 (예: 조립부, 가공부 등)
  • 보조부문: 제조부문을 도와주는 부서 (예: 공무과, 기계정비과, 전산팀 등)

→ 보조부문도 비용을 사용하지만 제품을 직접 만들지 않으므로,
그 비용은 제조부문에 넘겨야 해요!


이중배분율법이란?

보조부문이 서로에게 제공한 서비스까지 고려해서
제조부문에 단계적으로 제조간접비를 배부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 전산과(보조1)는 정비과(보조2)에게 서비스도 해주고,
정비과도 전산과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 이럴 때 단순하게 배분하면 불공정할 수 있죠.
  • 그래서 이중배분율법보조부문끼리 상호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반영해서
    보다 정확하게 제조부문으로 배부합니다.

이중배분율법의 절차

  1. 보조부문 간 서비스 비율을 파악
    • 예: 전산과는 정비과에 20%, 정비과는 전산과에 10% 서비스 제공
  2. 서비스 제공이 많은 부문부터 배분 시작
    • 예: 전산과 → 정비과 → 제조부문
  3. 배분받은 보조부문의 금액도 다시 배분
    • 정비과는 전산과에서 받은 금액 포함해서 다시 제조부문에 배분
  4. 모든 제조부문에 배분이 끝나면 종료

 


상호배분율법이란?

보조부문들끼리 주고받은 서비스까지 전부 반영해서
제조부문에 간접비를 배부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 공무과는 전산과에 20% 서비스
  • 전산과도 공무과에 10% 서비스

이때, 이중배분율법은
→ 한쪽만 먼저 배부하고 끝냅니다. (선순위만 반영)
그런데 상호배분율법
→ 서로 주고받은 것 전부 반영하고,
수식이나 연립방정식으로 두 부문의 진짜 총원가를 계산한 후,
→ 제조부문에 정확히 배분해요.


보조부문 배부방법 3가지 비교

구분 단일배분법 이중배분율법 상호배분율법
보조부문 간 상호서비스 고려 여부 고려 안 함 일부만 고려 (순차적) 완전 반영
배부 방식 각 보조부문 원가를 제조부문에 직접 배부 보조부문 간 상호 서비스 중 선순위만 반영 보조부문 간 상호 서비스 완전 반영 후 제조부문에 배부
정확성 낮음 보통 가장 높음
시험 출제 빈도 낮음 자주 출제 비교적 드물지만 출제 가능

 마무리 요약

이중배분율법이란? 보조부문 간 상호 서비스까지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조부문에 간접비를 배분하는 방법
사용되는 곳 종합원가계산 방식에서 제조간접비 배부할 때
특징 서비스 많은 부문부터 순차적으로 배분, 상호 제공 일부만 반영 (완전반영은 상호배분법)
시험팁 ① 순서 확인 ② 배분기준 명확히 ③ 금액 이동 체크 ④ 계산 반복에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