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관련 이모저모

신기사 직무 완전 해설 – 조합결성부터 투자·회수까지 흐름 이해하기

oloolo 2025. 11. 19. 15:51

신기술사업금융사(이하 신기사)는 겉으로 보기엔 생소하지만,
사실 금융업 중에서도 가장 “투자의 본질”에 가까운 직무가 모여 있는 조직입니다.

자산운용사가 “자산을 굴리는 곳” 이라면, 신기사는 “투자를 직접 심는 곳” 이에요.

돈이 단순히 종목을 사고파는 것을 넘어 기업의 성장·사업·전략을 이해해야 하는 자리죠.

 

이번 편에서는
👉 신기사가 어떤 일을 하는 회사인지
👉 직무가 어떻게 나뉘는지
👉 어떤 사람이 이쪽에 잘 맞는지
실무 경험과 함께 쉽게 풀어볼게요.

 


1. 신기사는 어떤 회사인가?

“투자금의 출발점을 설계하는 회사”

 

신기사는 정부가 지정한 ‘신기술사업자’ 또는 혁신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조합(펀드)을 만들고, 그 조합을 통해 직접 투자하는 기관이에요.

 

자산운용사: 금융상품에 투자
신기사: 기업에 투자

그래서 운용사보다 ‘사람·사업·시장’의 실체를 훨씬 가까이에서 봅니다.

 


2. 신기사 직무 전체 흐름

신기사의 업무 흐름은 아래 4단계로 나뉘어요.

 
① 딜 소싱 → ② 투자심사 → ③ 조합관리 → ④ 사후관리 & Exit

한 단계씩 설명해볼게요.

 


3. ① 딜 소싱 (Deal Sourcing)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것인가?”를 찾는 단계

🔹 주요업무

  • 산업 리서치
  • 스타트업·중소기업 탐색
  • IR 미팅
  • 대표 실사(브리핑)
  • 기업 재무 검토

🔹 필요한 역량

  • 사업모델 이해력
  • 질문력
  • 시장 트렌드 읽는 감각
  • 사람 보는 눈

딜 소싱은 일종의 “투자 인풋” 단계라
업계 네트워크도 매우 중요합니다.

 

3. ② 투자심사 (Deal Evaluation)

“이 회사에 진짜 투자해도 되는가?”

 

딜을 찾았다면, 이제 분석입니다.
이 단계에서 신기사의 전문성이 가장 많이 발휘돼요.

🔹 주요업무

  • 재무제표 분석
  • 기업가치 평가(Valuation)
  • 사업전략·SWOT 분석
  • 투자위 심의자료 작성
  • 법률·회계·기술 실사 연계

🔹 필요한 사람

  • 논리성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수익성·위험 판단력

이 단계는 운용사 리스크·회계 경험이 매우 도움이 되는 구간이에요.

 

 


. ③ 조합관리 (Fund Admin / Operation)

“조합이 규정에 맞게 굴러가도록 관리하는 핵심 실무”

 

🔹 주요업무

  • 조합 결성 절차(등기, 보고, 출자확인서 발급)
  • 자금 집행
  • 투자기업 별 관리
  • 회수금 정산
  • 회계·세무 이슈 대응
  • 신탁사·LP 보고

🔹 매력이 많은 이유

  • 운용 + 회계 + 준법이 모두 연결됨
  • 실무 구조를 몸으로 이해하게 됨
  • 투자 흐름을 가장 가까이서 보는 자리

🔹 맞는 유형

  • 꼼꼼함 + 프로세스 설계 좋아하는 사람
  • 디테일 강한 사람
  • 숫자 + 문서 모두 다루는 성향

 


3. ④ 사후관리 & EXIT

“투자가 끝날 때까지 기업을 관리하는 단계”

 

 

신기사의 가장 큰 특징은 “투자 이후의 관리”가 길다는 것.

🔹 업무

  • 투자기업 재무현황 모니터링
  • 경영진 변경·사업변경 대응
  • 이사회·주주총회 대응
  • 지분 회수 전략(IPO, M&A, 매각 등)

🔹 필요한 역량

  • 기업 이해력
  • 장기 관점 사고
  • 리스크 감지 능력
  • 커뮤니케이션 스킬

Exit(회수)가 성공하면 조합 성과급과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

 


 신기사 직무 유형을 한눈에

 

직무 방향 설명
투자팀(Front) 사람·사업 중심 딜 소싱 / 투자심사 / 밸류에이션
운용팀(Middle) 구조·통제 중심 리스크 기준·지표 / 내부통제
조합관리팀(Back) 프로세스 중심 결성·출자·회계·자금 / 보고

 

운용사와 달리, 신기사는 “투자 1건” 자체가 프로젝트처럼 흘러가요.

 


어떤 사람이 신기사와 맞을까?

✔ 사업 모델을 보는 게 재미있는 사람

숫자뿐 아니라, “이 회사 왜 존재하지?”를 보는 관점이 필요.

✔ 문제해결형 성향

투자 딜은 매번 다르고, 예상 외 상황이 자주 발생.

✔ 보고·문서 작업도 싫지 않은 사람

계약서·리포트·보고가 굉장히 많습니다.

✔ 사람 보는 감각

대표를 만나고 이야기하며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 금융 회계·리스크 경험 있으면 금상첨화

지은님처럼 “운용사 → 신기사” 흐름이 요즘 가장 자연스러운 루트.

 


신기사 업계의 미래

현재 신기사 업계는 확실한 성장기에 들어섰어요.

📌 성장 요인

  • 정부 모태펀드 출자 확대
  • 벤처·PE 융합형 조합 증가
  • 비상장 투자 수요 증가
  • 정책형 펀드 다양화
  • 개인투자조합·크라우드펀딩 확장

📌 전망

“투자 시장이 ‘금융상품’에서 ‘실물 가치’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신기사의 역할은 더 커질 것.”

 

특히 2025~2030년은 초기·중기 기업 투자 시장의 재편기라 신기사 실무 경험은 굉장히 가치가 높습니다.

 


마무리

운용사에서 배운
✔ 정확한 기준가 감각
✔ 회계적 사고
✔ 리스크 감각
✔ 프로세스 이해

이 모든 것은 신기사에서도 그대로 쓰입니다.

운용사는 자본의 흐름을 배우는 곳이고,
신기사는 자본이 ‘왜’ 움직이는지를 배우는 곳.


“관리 → 시장 → 투자” 순으로 커리어를 확장하는 루트는 요즘 금융업에서 가장 탄탄한 성장 구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