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재테크 루틴 공개, 월급날마다 하는 5단계 관리법

oloolo 2025. 11. 8. 16:23

월급날이 오면 잠깐 기분이 좋다가도,
통장 잔액을 보면 현실로 돌아오죠.
“도대체 돈은 어디로 사라지는 걸까?”

저도 같은 고민을 하다가,
매달 ‘월급 관리 루틴’을 만들었어요.
이 루틴을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불안감이 줄고, 자산이 눈에 보이게 늘었어요.
오늘은 제가 실제로 하고 있는 월급날 재테크 루틴 5단계를 정리해봤어요.

 

1단계. 자동이체 점검 – 돈 새는 구멍부터 막기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자동이체 항목 점검이에요.
보험, 구독료, 각종 멤버십 등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비를 한 번에 확인합니다.

 

루틴 예시

넷플릭스 / 유튜브 프리미엄 / 클라우드 서비스
휴대폰 요금 / 보험료 / 관리비

한 번 체크할 때마다 불필요한 구독을 하나씩 끊어요.
처음에는 귀찮지만, 이걸로 매달 2~3만 원씩 절약됩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1년이면 꽤 커요.

 

 

2단계. 월급 3분할 – 소비, 저축, 투자

월급이 들어오면 바로 3개의 계좌로 나눠요.

구분 비율 용도
생활비 50% 고정비 + 식비 + 교통비
저축 20% 비상금, 적금, 청약
투자 30% 국내/해외주식, ETF, 연금계좌

이걸 자동이체로 설정해두면
‘이번 달엔 저축을 얼마나 해야 하지?’ 고민이 사라져요.
특히 투자계좌는 절대 출금하지 않기
‘생활비 통장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게 핵심이에요.

 

 

3단계. 소비 기록 – 앱으로 시각화하기

저는 페이북토스 가계부로 지출을 자동 기록해둡니다.
예전에는 수기로 가계부를 써보다가 금방 포기했는데,
요즘은 앱이 알아서 카테고리별로 분류해줘서 훨씬 편해요.

💬 팁:
“지출 그래프가 오르기 시작하면, 소비가 불필요하게 늘고 있다는 신호예요.”
한눈에 보기 때문에 조정이 빠릅니다.

 

이걸 한 달만 꾸준히 해도
“내가 돈을 어디에 쓰는지” 감이 확 오더라고요.

 

 

4단계. 자산 대시보드 업데이트

매달 1회, 전체 자산을 한눈에 정리해요.
현금, 주식, 예금, 연금 등 자산을
엑셀 또는 토스 ‘내 자산’ 기능으로 정리합니다.

① 총 재무 요약

구분 금액(원) 비율 설명
총자산(A)     예금 + 투자 + 연금 + 비상금
총부채(B)     전세자금대출 등
순자산(A–B)     실제 내 순자산 (2025년 기준)

 

 

② 자산 구성 세부내역

 
자산항목 금액(원) 비중(%) 비고
현금성 자산     생활비 + 단기비상금
예금·적금     청약 포함
국내주식     배당주 + 성장주 혼합
해외주식     S&P500, 나스닥 ETF 중심
연금계좌(IRP·연금저축)     세액공제용 장기계좌
기타(비상금, CMA 등)     단기자금 확보용
전세보증금(자산)     보증금 일부 자기자본

 

③ 부채 현황


부채 항목금액(원) 비중(%) 비고
전세자금대출     고정금리 2.5%
신용대출     단기 생활자금용
총부채      

 

이 표를 매달 업데이트하면서
‘내 순자산이 얼마나 늘고 있는지’를 기록해요.
그래프가 올라갈 때마다 동기부여가 확실히 됩니다.

 

5단계. 투자 리밸런싱 – ETF·연금 점검하기

마지막은 투자 점검이에요.
특히 ETF나 연금펀드 비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예시 루틴

  • S&P500 ETF : 장기보유 (기준가 확인만)
  • 국내 ETF : 분기마다 일부 교체
  • IRP/연금저축 : 6개월마다 리밸런싱

 

이걸 습관화하면 시장 변동에도 덜 흔들려요.
‘월급날마다 투자 비율 확인’은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핵심 루틴이에요.

 

 

정리 – “돈 관리도 결국은 루틴이다”

루틴 단계 핵심 키워드
1. 자동이체 점검 새는 돈 막기
2. 월급 3분할 구조적 관리
3. 소비 기록 시각화로 통제
4. 자산 현황 동기부여
5. 리밸런싱 장기 투자 관리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이 루틴을 3개월만 유지하면 돈이 ‘흐름’으로 보이기 시작해요.
그리고 어느 순간,
“이번 달은 돈이 모였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마무리

돈 관리는 ‘절약’이 아니라 ‘습관’이에요.
월급날마다 나만의 루틴을 만든다면,
통장 잔고보다 마음이 먼저 여유로워집니다.